아파트나 상가 등 부동산에 투자하기에는 자금이 많이 부족하고 주식이나 코인에 투자하기에는 어렵고 손실이 두렵습니다. 이런저런 재테크를 알아봐도 어렵기만 해서 결국 찾게 되는 것이 적금입니다.
티끌모아 티끌이라고 하지만, 요즘 금리가 많이 오른 덕에 적금을 넣어도 이전보다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재테크 수단 중에 가장 안전한 방법이 적금인데요, 손실이 두렵고 안전한 방식을 선호하는 성향의 사람들에게 가장 적합한 재테크 수단이죠.
종잣돈을 모으기 위해 적금을 들어두었는데 예상치 못하게 돈이 필요해서 해지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적금 깨는 법과 적금 깨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적금 깨는법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는 은행을 방문하여 해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신분증만 가지고 가서 은행원에게 요청하면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은행업무를 많이 수행하기 때문에 인터넷뱅킹으로 직접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해지할 수 있는데요, 은행 인터넷뱅킹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신청이 되어있어야 합니다.
스마트폰 모바일앱으로도 할 수 있는데요, 저는 스마트뱅킹이 익숙하지 않지만 클릭 몇 번으로 쉽게 가입과 해지가 되는 것을 보고 세상 참 좋아졌구나 하는 생각을 하고는 합니다.
적금 깨면 발생하는 불이익
잘 모르던 시절에 저는 적금을 깨면 원금손실이 나는 것으로 생각하던 때도 있었습니다.
환급형 보험상품의 경우 중도해지 시 원금손실이 발생하게 되지만, 적금은 원금에 대한 손실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 신용도가 떨어지는 일도 없죠.
다만, 이자는 만기일까지 깨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이자인데요, 중간에 깨서 만기가 되기 전에 해지되는 경우는 이자를 온전히 받지 못하게 됩니다.
중도해지 시 이자는 적금 상품마다 다르지만, 원래 받을 수 있는 금액보다 많이 적은 금액을 받게 되므로 크게 기대는 하지 않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적금 넣는 요령
적금을 넣을 때는 큰돈을 한 번에 넣기보다는 적은 금액으로 여러 개의 적금을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갑자기 깨야할 상황이 오면 필요한 금액만큼만 깨고 나머지 금액은 유지하여 온전히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이거나, 잠깐 쓰고 다시 채워 넣을 수 있는 상황이라면 중도인출을 하거나 예적금 담보대출을 받는 것이 좋을 때가 있으니 잘 따져보고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검토해보면 좋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버스 제로데이 택배 보내기 받기 이용방법과 비용 알아봐요 (0) | 2022.08.29 |
---|---|
엑셀 행열 바꾸기 이렇게 쉬웠다니 (0) | 2022.08.27 |
하나은행 atm 입금 출금 한도 이용시간 수수료 알아봐요 (0) | 2022.08.25 |
농협 보안카드 재발급과 분실신고 방법 (0) | 2022.08.24 |
2억 대출 이자 상환 얼마나 내야할지 알아봐요 (0) | 2022.08.23 |
댓글